-
고사성어-일엽지추(一葉知秋) 나뭇잎 한 잎을 보고 가을이 옴을 알다좋은글 그리고 아름다운 시(詩) 2017. 11. 30. 11:31
일엽지추(一葉知秋) - 나뭇잎 한 잎을 보고 가을이 옴을 알다.
나뭇잎 한 잎(一葉)이 떨어지는 것을 보고 가을이 온 것을 안다(知秋)는 말은 작은 움직임만 보고도 전반적인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질 것인가를 예측할 수 있다는 말이다. 가만히 앉아서 천하의 움직임을 감지한다는 천리안을 갖지 않았더라도 예지력은 뛰어난 사람이다
하지만 '제비 한 마리가 왔다고 봄이 온 것은 아니다'라는 영국 격언이 말해주는 것처럼 사소한 증거를 가지고 전체를 파악하지 말라는 경고도 담고 있다.
이처럼 중의적으로 쓰이는 성어가 나타나는 곳은 많다. '文錄(문록)'이라는 책에 唐(당)나라 무명시인의 시구라며 인용한 '山僧不解數甲子一葉落知天下秋(산승불해수갑자일엽낙지천하추/ 산 속 스님은 세월을 헤아리지 않고도, 낙엽 하나로 천하에 가을이 왔음을 안다)'가 유명하다. 같은 당나라 李子卿(이자경)의 '聽秋蟲賦(청추충부)'라는 시에는 '一葉落兮天地秋(일엽낙혜천지추/나뭇잎 한 잎이 떨어지니 천지는 가을이네)'라는 구절도 있다.
또 중국 前韓(전한)의 劉安(유안)이 쓴 '淮南子(회남자)'에는 고깃국이 끓고 있는데 그 맛이 궁금하다면 국을 다 먹어야 그 맛을 알 수 있는 게 아니라며 '떨어지는 나뭇잎 하나를 보면 한 해가 장차 저물려는 것을 알 수 있고, 병 속의 물이 언 것을 보면 천하가 곧 추워지리라는 것을 안다(見一葉落而知歲之將暮 覩甁中之氷而天下之寒/ 견일엽낙이지세지장모 도병중지빙이천하지한)'고 했다. 覩는 볼 도. 조선 후기의 문신 心庵(심암) 趙斗淳(조두순)도 비슷하지만 더 멋진 시구를 남겼다. '오동 한 잎 날리자 천하가 가을이라, 가을바람 가을비만 외로운 누각에 가득하네(一葉梧飛天下秋 秋風秋雨滿孤樓/일엽오비천하추 추풍추우만고루).'
-출처 안병화(언론인, 한국어문한자회)-
'좋은글 그리고 아름다운 시(詩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함께하는 사랑은 아름답습니다 (0) 2017.12.16 나보다 못한 사람을 생각하라-채근담 (0) 2017.12.10 친구를 함부로 사귀지 말라 (0) 2017.11.29 성공의 열쇠는 덕을 쌓는 것 (0) 2017.11.28 건망증-이해인 수녀님의 시 (0) 2017.11.20